Chuyển tới nội dung
Trang chủ » [캐나다 한국일보] 새해의 꿈

[캐나다 한국일보] 새해의 꿈

주제 기사 [캐나다 한국일보] 새해의 꿈은(는) 인터넷에서 저희가 편집했습니다.

2022 Library and Archives Canada Scholar Awards
2022 Library and Archives Canada Scholar Awards

Home / 오피니언

새해의 꿈

로터리

  •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editor@koreatimes.net)
  • Feb 14 2020 05:28 PM

서혜란 | 국립도서관장

지난해 여름, 독일 바이마르에서 며칠을 보냈다. 바이마르는 인구가 6만5,000명 정도의 소도시지만 괴테와 실러, 리스트와 바흐가 활동했고 바이마르헌법과 바우하우스 예술 양식이 태어난 유서 깊고 아름다운 문화의 고장이며 특히 안나 아말리아 도서관이 있는 곳이다.
지난 1758년부터 바이마르공국을 통치했던 안나 아말리아 대공비는 괴테·실러 같은 당대의 지성을 초빙해서 바이마르공국을 유럽 최고의 문화강국으로 만들었다.
그가 바이마르 궁전의 ‘초록 성’에 만든 이 도서관은 건물 자체도 아름답지만 특히 루터가 번역한 독일어 성서 초판본, 괴테의 파우스트 완판본, 1만권에 달하는 셰익스피어 컬렉션 등 수많은 귀중본 장서로 유명하다.
이 도서관의 관장으로 오랫동안 봉직했던 괴테의 탄생 250주년이던 1999년부터 길 건너편 ‘붉은 성’을 연결하는 대규모 지하서고와 현대식 신관 공사가 시작됐다.

그런데 막 완공된 신관으로 장서 이전 작업을 시작하던 2004년 9월2일 밤, ‘초록 성’에서 노후 전선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했다. 당시 우리나라 텔레비전에도 속보가 뜰 정도로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5만권의 귀중서가 완전히 잿더미가 돼 사라졌고 불에 타거나 화재진압을 위해 뿌린 물 때문에 손상된 책이 6만2,000권에 이르렀다. 도서관 직원들은 물론 수많은 시민이 자발적으로 화재진압과 귀중서의 구출에 참여했던 일화는 유명하다.
앞서 1986년 4월29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공도서관에는 방화에 의한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7시간38분 동안 악마처럼 도서관을 휩쓸었다. 장서 40만권이 불길 속에 사라졌고 70만권이 연기나 물에 의해 심각하게 훼손됐다.
두 도서관의 화재는 불도 무섭지만 화재진압을 위해 뿌리는 물이 더 무섭다는 사서들의 상식을 재확인시켜줬다.
연휴에도 출근해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을 안전하게 지켜준 직원분들이 고맙다.

www.koreatimes.net/오피니언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국장 (editor@koreatimes.net)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아래의 기사를 추천합니다

기사제목 작성일
2020년 1월이 주는 교훈 18 Feb 2020
‘중국판 체르노빌’ 사태 14 Feb 2020
새해의 꿈 14 Feb 2020
우한 엑소더스와 국민성 14 Feb 2020
‘하여가’와 ‘단심가’ 12 Feb 2020
북은 왜 저질 비난? 문 대통령은 동정적인데 12 Feb 2020

여기에서 이 항목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를 참조하십시오: https://dochoixehoangngoc.com/kaenada-gugrib-doseogwan-jzyz39vn

주제 기사 [캐나다 한국일보] 새해의 꿈 읽기를 마쳤습니다. 귀하를 위해 https://dochoixehoangngoc.com에서 수집한 가장 완전한 정보.

Trả lời

Email của bạn sẽ không được hiển thị công khai. Các trường bắt buộc được đánh dấu *